전체 글 272

미래를 주도할 신기술,테마주,관련주 총정리

안녕하세요 벌프입니다. 요새 관심있는 분야가, 과연 미래 제2의 테슬라는 어떤 종목들일까? 계속해서 새로운 빅테크 기업들이 나올텐데, 어떤 기술력을 가진 기업이 시장을 선도할까? 라는 고민이 많습니다. 가장많은 성장을 이룬 빅테크 기업이 바로, 애플, 테슬라,구글 같은 기업을 꼽는데. 그 이유는 바로 시장을 주도할 능력이 있다는 것입니다. 즉, 이 종목들의 등하락에 따라 시장의 편도가 바뀐다는 것이죠. 그럼 우린 왜 이런 종목을 미리 인지하지 못했을까요? 바로 가치를 알아보지 못했던 것이죠. 보통 이러한 기업들의 특징은 이러합니다. 테슬라를 예를 들어보죠, 첫번째는 현재 시장의 문제점을 개선할 여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고도화된 사회에서 정말 번쩍이는 테크놀로지가 등장하는것은 쉽지않습니다. 현행 시장에서의..

쏘카 주가 전망 및 기업분석(feat.경영권 분쟁)

안녕하세요 벌프입니다. 오늘은 쏘카의 기업분석을 통한 앞으로의 주가 전망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쏘카 주요이슈 이같은 주가 상승은 전날 박재욱 쏘카 대표가 97억원 가량을 들여 지분 1.98%를 장내 매수한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이번 매매를 통해 박 대표의 쏘카 지분은 2.98%가 됐다. 회사 측은 쏘카 책임경영 차원이라고 밝혔으나 시장에서는 에스오큐알아이와 롯데렌탈 간 지분율 차이가 크지 않은 점을 감안해 경영권 분쟁이 시작된 것으로 해석하고 있다. 앞서 롯데렌탈은 내년 9월까지 쏘카 지분을 기존 14.99%에서 32.91%로 늘리는 계약을 체결했다. 쏘카의 최대주주인 에스오큐알아이는 전날 보유 지분을 36.22%에서 38.18%로 늘렸다. 에스오큐알아이는 이재웅 전 쏘카 대표가 83.3% 지..

희림 주가전망 및 기업분석

안녕하세요 벌프입니다. 희림 기업분석을 통한 앞으로의 주가 전망을 살펴보겠습니다. 1.희림 주요이슈 이날 급등은 희림이 현대건설, 사우디아라비아 투자부와 3자 업무협약(MOU)을 맺고 부동산·인프라 개발사업 분야에서 상호 협력하기로 했단 소식이 주가를 밀어올리는 것으로 풀이된다. 희림은 이번 협약으로 사우디에서 벌어지는 각종 개발사업, 인프라, 민관협력(PPP)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건축설계, 건설사업관리(CM) 업무에 대해 긴밀하게 협력하기로 했다. 희림이 대선 관련주였던것은 다들 알만한 사실이기에 이번 사우디 투자부와 MOU체결은 꽤나 의미있는 협약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중동국에서의 투자는 항상 반갑습니다, 좋은 금액을 받을 수 있고, 개발할 분야도 많기때문입니다. 투자 모멘텀 및 이슈 ⭐️⭐️⭐️⭐️..

모비릭스 주가전망 및 기업분석

모비릭스 기업분석을 통한 앞으로의 주가 전망을 알아보겠습니다. 1. 모비릭스 주요 뉴스 특별하게 주요한 뉴스및 공시는 없다 다만 게임사의 전반적인 상승세로 인한 상승으로보이며. 게임사의 모멘텀에 따라 앞으로의 이슈가 달라질 것으로 보인다. 이슈 및 모멘텀 ⭐️ 2. 모비릭스 사업내용 모비릭스의 사업내용은 크게 게임, 금융투자부분으로 나뉜다. 게임 사업 내에서는 인앱, 모바일게임에서의 수익이 있으며, 광고매출 역시 내고있다. 게임은 위와같은 게임을 개발했다. 특히 이 게임중 블레이드키우기의 매출비율이 크게 증가했다. 인게임 모습이다 . 요즘 3D보다 오히려 애니스러운 게임들이 많이나오고있고. 오히려 이런게임들의 매출이 상당하다. 이런면에서 이런게임의 투자와, 캐주얼게임의 광고수입까지 얻고있어 나쁘지 않은 ..

원유 관련 ETF 총정리(2배,3배 레버리지)

안녕하세요 벌프입니다. 오늘은 원유 관련 ETF를 총 정리해보려고합니다. 먼저 오랜만에 포스팅하는 글인데 원유관련하여 글을 쓰는 이유를 말씀드리겠습니다. 1. 앞으로의 원유가격은 상승할 것인가? 위 질문에 너무 당연하게 예라고 대답하려고합니다.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에 이어서 현재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사이의 분쟁역시 일어나고있으며 뭔가 세계 정치사에 분열이 가고있고 , 새로운 패권을 향해 도전하는 모습이 보이고있습니다. 갑작스러운 팔레스타인의 공격에 전 의문을 품었습니다, 조그마한 나라가 아무리 원한감정이 격심하다고 해도. 소국이 대국을 자발적으로 공격하는것은 드물다고 저는 생각합니다. 이에 배후에 어떤 세력이 있으며, 그 세력은 이 분쟁을 통해 가장 큰 이익을 볼 곳이라고 결론내렸습니다. 이에 이번 ..

카테고리 없음 2023.10.20